책소개
이 작품은 제인 오스틴의 완성된 소설 여섯 편 가운데 ‘별종’으로 불릴 수 있을 정도로 독특한 작품이다. 오스틴의 어느 소설보다도 풍자적·반어적인 경향이 강한 작품으로 첫 줄부터 마지막 줄까지 아이러니와 풍자로 일관하면서 작품 전체가 하나의 패러디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소설은 감상소설(sentimental novel)과 고딕소설(gothic novel) 및 행위 지침서(conduct book) 등 당대의 지배적인 문학 장르에 드러난 허위의식이나 과장된 감수성을 가차 없이 풍자하면서 동시에 그러한 장르들의 패턴을 구성 원리로 이끌어가고 그 정신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독보적이다.
당대의 행위지침서에서 설파한 도덕적 지침이나 소설의 교훈적 기능에 대한 기대도 여지없이 풍자의 대상이 되고 만다. 이 소설의 마지막 줄에서 화자는 독자에게 이 소설의 목적이 “부모의 압제를 권장하려는 것인지 혹은 자식의 불복종을 칭찬하려는 것인지를” 결정하라고 하면서, 소설이 독자에게 도덕적 교훈을 주어야 한다는 당대의 관습적인 규범을 조롱한다.
당대의 서사 양식들을 풍자하고 패러디하면서 동시에 그 양식들의 정수를 포용함으로써 부정과 긍정, 전도와 재창조의 양면성을 드러낸다. 이는 오스틴이 극히 첨예한 의식을 가지고 고도의 기법을 구사하며 소설을 쓰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오스틴의 소설 가운데 유독 소설 기법에 대한 자의식을 드러내고 소설에 대한 옹호론을 펼치기도 하는 등 소설에 대한 관심을 드러낸 소설, 즉 메타픽션이라고도 불릴 수 있는 이 작품은 오스틴의 작가 의식을 정립하기 위한 시도였을 것이고, 이 과정에서 작가의 비판적, 유희적 정신과 예술적 기교가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다.
이 소설에는 풍자적, 유희적 정신이 넘쳐흐르고, 오스틴의 신랄한 풍자와 위트, 독창적 기지가 빛을 발하고 있다. 오스틴이 아닌 어느 작가가 자신의 여주인공을 그토록 조롱하며 즐거워할 수 있으랴. 이러한 유희적 정신은 오스틴이 십 대에 써온 초기 습작 소설들에 나타난 풍자적 정신의 맥을 잇고 있으며 이런 점에서 이 소설은 바로 그 유희적 정신의 결정체로서 그 발달 과정을 완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비록 짧은 소설이지만 이 소설을 오스틴의 최고 작품으로 꼽는 평자들이 있는 것도 이 소설이 이룩한 높은 완성도를 입증한다고 하겠다.
200자평
제인 오스틴의 다섯 번째 작품으로, ‘별종’이라 불릴 수 있을 정도로 독특하다. 오스틴의 어느 소설보다도 풍자적·반어적인 경향이 강해 첫 줄부터 마지막 줄까지 아이러니와 풍자로 일관하면서 작품 전체가 하나의 패러디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젊은이들의 사랑과 결혼, 재산을 추구해나가는 과정을 작가 특유의 아이러니와 유머, 따뜻함과 문학적 상상력, 그리고 다양한 표현기법을 사용해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 특히 그 시대 문학가들에 대한 신랄한 풍자가 곁들여져 있다.
지은이
제인 오스틴은 영국의 소설가다. 1775년 12월 영국 햄프셔 주 스티븐턴에서 교구 목사인 아버지 조지 오스틴과 어머니 커샌드라의 여덟 자녀 중 일곱째로 태어났다. 부유하지는 않았지만 독서를 장려하고 함께 연극을 공연하는 등 문화적 풍요를 누렸던 가정에서 자라며 어려서부터 글쓰기에 흥미를 보였고, 열두 살의 나이에 이미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스무 살이 되던 1795년에는 첫 장편소설을 완성했는데, ≪엘리너와 메리앤≫이라는 제목의 이 소설은 후일 그녀의 대표작 중 하나인 ≪이성과 감성≫으로 재탄생된다. 1795년, 이웃의 조카인 톰 르프로이를 만나 사랑에 빠지지만 르프로이 집안의 반대로 결혼이 무산되는 아픔을 겪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오만과 편견≫의 초고에 해당하는 서간체 소설 ≪첫인상≫을 집필했다. 이 작품을 통해 딸의 재능을 알게 된 아버지가 원고를 런던의 출판사에 보냈으나 출간에는 이르지 못했다. 하지만 오스틴은 이후로도 습작과 초기 작품의 개작을 계속했다. 1802년 여섯 살 연하인 해리스 빅위더에게 청혼을 받고 승낙했으나 사랑 없는 결혼에 회의를 느껴 다음 날 마음을 바꾸었고, 이후 평생을 독신으로 살았다. 1805년 부친이 사망한 후 경제적 어려움을 겪다가 1809년 고향에서 멀지 않은 초턴에 정착, 이즈음부터 익명으로 작품들을 출간하기 시작했다. 1811년 ≪이성과 감성≫을 필두로, 1813년 ≪오만과 편견≫, 1814년 ≪맨스필드 파크≫, 1815년에는 ≪엠마≫를 출간, 작가로서 왕성한 활동을 이어갔으나 다음 해 ≪설득≫을 탈고한 이후 급격하게 건강이 악화되었다. 1817년 다시 ≪샌디튼≫의 집필을 시작했으나 건강 악화로 중단해야 했고, 작품을 마무리하지 못한 채 같은 해 7월 마흔두 살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사후에 출간된 ≪노생거 사원≫과 ≪설득≫을 비롯하여 그녀가 남긴 작품은 단 여섯 편뿐이지만, 2백여 년이 지난 지금에도 여전히 전 세계의 독자들의 폭넓은 사랑을 받고 있다.
옮긴이
이미애는 현대 영미 소설 전공으로 서울대학교 영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교에서 강사 및 연구원으로 가르쳤다. 조지프 콘래드, 제인 오스틴, 존 파울즈, 카리브 지역의 영어권 작가들에 대한 논문을 썼고, 역서로는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 J. R. R. 톨킨의 ≪호빗≫, ≪반지의 제왕≫(공역), ≪위험천만 왕국 이야기≫, 제인 오스틴의 ≪설득≫, ≪에마≫, 조지 엘리엇의 ≪아담 비드≫, ≪영원과 하루: 토머스 모어 서한집≫, ≪빅토리아 시대의 사람들과 사상≫ 등이 있다.
차례
해설
지은이에 대해
제1부
제2부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헨리가 지금은 진심으로 그녀에게 애정을 느끼고 있지만, 원래 그의 애정은 고마움에서 비롯되었음을 고백해야겠다. 다시 말해서, 그녀가 자신에게 애정을 느끼고 있음을 확신하면서 그녀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하게 된 것이다. 이것은 로맨스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새로운 상황이고 여주인공의 품위를 몹시 떨어뜨리는 상황이라는 점을 나는 인정한다. 하지만 이것이 현실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새로운 상황이라면, 적어도 무모하게 상상력을 발휘한 점에 대해서는 순전히 나의 공으로 돌릴 수 있을 것이다.